전체메뉴 닫기
이용안내
처음오시는분
찾아오시는길

약도·자가용

대중교통안내

주차안내
면회안내
층별안내

전체 층별 안내

병원 내부 사진

전화번호안내
장례식장

장례식장 소개

고인 현황

편의시설
진료안내
진료과·센터·클리닉

진료과 리스트

센터 리스트

클리닉 리스트

진료과·의료진 검색

의료진·진료일정
병명으로 교수 찾기
증명서발급

진단서(제증명)

인터넷 증명서 발급

차트 및 필름사본

처방전

외래진료
입원진료

입퇴원안내

병실생활안내

응급진료
진료예약
처음진료 상담예약
인터넷예약
방문예약
전화예약
진료협력센터

센터소개

이용절차

진료협력 의료기관 찾기

예약조회/취소
1:1전문의상담

진료과별 상담

이용안내 FAQ

고객서비스
환자의 권리와 의무
자주하는 질문

이용안내 FAQ

산부인과 FAQ

소아청소년과 FAQ

비뇨의학과 FAQ

상담실
고객의 소리
고마워요 차병원
병원소개
미션·비전·핵심가치
연혁

2020년 ~ 현재

2010년 ~ 2019년

1990년 ~ 2009년

현황
병원장 인사
HI소개
글로벌 차병원

건강정보

조정민
조정민 교수
전문분야
불안장애, 공황장애, 정신병적장애, 기분장애
“오늘 학교(유치원) 가기 싫어요” 꾀병으로 넘기기 쉬운 ‘새 학기 증후군’

2021.04.13

조회수
617

“오늘 학교(유치원) 가기 싫어요”
꾀병으로 넘기기 쉬운 ‘새 학기 증후군’

사회적 거리 두기 2단계까진 유치원생과 초등학교 1~2학년은 등교를 할 수 있지요. 새 학기가 시작되면서 아이가 ‘머리가 아파요’, ‘밥맛이 없어요‘ 하며 등교를 거부한다고요? 꾀병으로 치부하기 쉽지만 이는 ‘새 학기 증후군’ 일 수 있어요. 구미차병원에서 ‘새 학기 증후군’ 대처법을 알려드립니다.

새 학기 증후군 방치하면 우울증, 틱장애 동반

매년 3월이면 유난히 우울, 불안, 불면, 과수면, 소화불량, 두통, 몸살 등을 앓는 아이들이 많아집니다. 학교를 가기 위해 집 앞을 나서자마자 복통이나 두통을 호소하거나, 간혹 밤에 잠을 안 자거나 오줌을 싸기도 하며, 구토 증세를 보이거나, 밥을 먹지 않으려는 투정을 부리기도 하죠. 이는 새로운 학교생활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생긴 심리적 불안이 신체적으로 나타나는 ‘새 학기 증후군’ 증상입니다.

새 학기 증후군은 부모의 불안이 높은 경우(과잉보호) 쉽게 찾아볼 수 있고, 환경의 변화에 예민한 내성적인 성격의 아이들에게 많이 나타납니다. 이때 보통 부모들은 꾀병이라고 대수롭지 않게 여기지만, 방치하는 것은 금물입니다.

새 학기 증후군을 보이는 아이들을 보면 불안도가 높고 자신감이 부족한 경우가 많은데, 이로 인해 또래 친구들과의 어울림, 선생님과의 관계에 어려움을 겪으며 더욱 편안한 부모 곁에 머무르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또 새 학기 증후군이 오래 지속되면 호르몬 분비에 이상을 겪어 더딘 성장 발육을 보일 수도 있고, 심리적 위축은 또래 집단에서 놀림의 원인이 되고, 성적 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 상태가 오래되면 틱장애가 나타나기도 합니다.

아이가 안정감 느낄 수 있도록
조급하지 않게 공감적 대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

심리적인 불안이나 긴장 등 가벼운 증세만 나타난다면 적응 기간이 지난 후 저절로 없어집니다. 하지만 한 달 넘게 지속되거나 육체적인 고통이 심한 경우 증세에 맞는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부모와의 대화입니다. 아이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대화를 통해 격려하는 것이죠. 아이가 걱정하는 부분이 무엇인지 최대한 말로 설명할 수 있도록 해주고 공감해 줘야 합니다.

등교 시간에 부모님과 헤어지는 것을 두려워하는 아이는 단계적으로 부모와 떨어짐을 연습하도록 해줍니다. 처음에는 아이를 부모가 복도에서 지켜봐 주고, 이후는 운동장에서 기다려주고, 점심시간에만 만나고 이후는 교문까지만 데려다주는 식으로 점차 준비할 시간을 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집중력이 부족해 학교에 적응을 어려워한다면, 집중해야 하는 시간을 짧게 여러 번 가질 수 있도록 가르쳐 주세요. 아이의 괴로움이 심하다면 병원의 도움을 꺼려 하지 마세요. 아이의 마음을 헤아리고 공감해 주고 관심을 가져주는 것, 조급해 하지 않고 기다려주는 것, 정신건강의학과의 도움을 받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이 필요합니다. 학교는 안전하고 즐거운 곳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고 친구와 함께 등하교 하는 기쁨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학교생활 부적응과 학교 거부증은 소아 청소년 정신 건강에서는 심각하고 중요한 문제입니다.

새 학기 증후군을 가진 학생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틱장애, 우울장애, 강박장애, 품행장애, 적대적 반항장애 등을 한 개 혹은 여러 개 갖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꾀병이라고 간과하지 말고 소아청소년 정신건강 전문의를 찾아 신속한 치료를 받으세요.